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

1-1. 요구사항 확인 (2) 2020 기출 ' ' 2021 기출 ' ' 수제비 데일리 ' ' 2. 요구사항 확인 (1) 요구분석 기법 요구분석이란? 요구분석은 도출된 요구사항 간 상충을 해결하고 소프트웨어의 범위를 파악하여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과정 *외부환경 : 시스템(소프트웨어)과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과정 요구분석은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중 명확하지 않거나 모호하여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걸러내기 위한 과정 요구분석 기법 순서 절차 설명 1 요구사항 분류 기능 / 비기능 미치는 영향의 범위 상위 요구사항에서 유도된 것인지 또는 이해관계자나 다른 원천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것인지 2 개념 모델링 생성 및 분석 모델 - 요구사항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실 세계 상황을 단순화, 개념적으로 표.. 2021. 7. 9.
1-1. 요구사항 확인 (1) 2020 기출 ' ' 2021 기출 ' ' 수제비 데일리 ' ' 1. 현행 시스템 분석 (1) 플랫폼 기능 분석 플랫폼 (Platform) 이란?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하여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리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 플랫폼 유형 유형 설명 싱글 사이드 플랫폼 (Single-Side Platform) 제휴 관계를 통해 소비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형태 ex) 아이튠즈, 안드로이드 마켓 투 사이드 플랫폼 (Two-Side Platform) 두 그룹을 중개하고 모두에게 개방하는 형태 ex) 소개팅 앱 멀티 사이드 플랫폼 (Multi-Side Platform) 다양한 이해관계 그룹을 연결하여 중개하는 형태 ex)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플랫폼의 기능 소프트웨어 개.. 2021. 7. 8.
[알고리즘] 프림(prim) 알고리즘 프림 알고리즘 프림 (Prim) 알고리즘 하나의 정점에서 연결된 간선들 중에서 하나씩 선택하면서 MST를 만들어 가는 방식 프림의 방법 정점과 인접하는 정점 중에서 최소 비용의 간선이 존재하는 정점 선택 계속 가중치가 최소인 정점을 연결해가며 최종적으로 연결된 배열의 합 과정 구현 기본 방법 최소 힙 이용 방법 기본 방법 프림 알고리즘 코드 (Python) """ 입력 정보 첫 째 줄에 마지막 노드 번호 V(0번 부터 시작)와 간선의 개수 E 다음 줄부터 E개의 줄에 걸쳐 간선의 양 끝 노드(start, end)와 가중치(w) 4 6 0 1 10 0 2 7 1 4 2 2 3 10 2 4 3 3 4 10 """ def prim(): key = [987654321] * (V+1) # 갱신된 최솟값 가중치(처.. 2021. 7. 7.
[알고리즘] 최소 신장 트리 (MST) 2021.07.07 - [알고리즘] - [알고리즘] 프림(prim) 알고리즘 Spanning Tree 그래프 내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는 트리 Spannig Tree는 그래프의 최소 연결 부분 그래프이다. 최소 연결 = 간선의 수가 가장 적다. n개의 정점으로 이루어진 무향 그래프에서 n개의 정점과 n-1개의 간선으로 이루어진 트리 Minimum Spanning Tree (최소 신장 트리) 무향 가중치 그래프에서 신장 트리를 구성하는 간선들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인 신장 트리 MST의 특징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여야 한다. n개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에 대해 반드시 (n-1)개의 간선만을 사용해야 한다. 사이클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MST의 사용 사례 도로 건설 도시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도로의 길이가 .. 2021. 7. 7.